STORY #16
/
"사적인 서점은 지극히 사적인 서점이다. 이곳을 방문하는 손님은 사적인 공간에서 책 처방사와 사적인 대화를 나누고, 지금 내게 필요한 책을 사적으로 처방받는다."
상담실이 있는 서점이라니? 정지혜 대표님은 어떻게 이런 아이디어를 생각하게 됐을까?"
- 사적인 서점 -
“저는 홍대에 땡스북스에서 일했었어요. 땡스북스는 큐레이션 서점 문화가 생긴 시초 격이였죠. 그곳에서 일을 하면서 책을 고르지 못하는 손님과 얘기를 나누며 책을 추천해 주다가 서로 교감을 하게 되고, 그러다 보니까 책을 좀 더 밀접하게 추천해드릴 수 있었죠. 그때 저는 너무 보람찼고 동시에 이 일이 잘 맞는다고 느껴졌어요. 그래서 저는 손님과 더 많은 교감하고 싶었어요. 그런 교감하는 방식을 어떻게 구현할까 생각하다가 덴마크에 관한 책을 봤습니다.
국민 모두가 주치의가 있다는 내용이었어요. 거기서 저도 독서도 주치의가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처방이라는 아이디어도 여기서 가져왔고요. 또 참고가 되었던 곳은 제가 자주 다니는 미용실이었어요. 상수의 장싸롱이라는 1인 미용실이에요. 1인 미용실이 많이 없던 시절이었죠. 이 미용실처럼 서점도 1인 예약제로 운영하면서 한 사람을 위한 프라이빗 한 서비스를 제공해보고 싶었어요.”
기존 서점들은 환경과 서비스를 세팅하고 판매하는 방식을 가지고 있다. 책이 있고, 책을 구경하기 좋은 환경과 감성을 판매하는 서점들.
그런데 이곳은 조금 다르다.
책 표지에는 책 제목이 적혀있지 않다.
책의 제목 대신에 ‘나이 들어가는 즐거움을 알고 싶은 당신에게 - 그 여자’,
‘슬픔을 잘 다루고 싶은 당신에게’, ‘나만의 작은 가게를 열고 싶은 당신에게 – 기본 편’
좋아하는 일이 권태로워진 당신에게’ 등과 같은 글귀가 써져있다.
‘내 기분은 이런데 도무지 어떤 책을 찾아야 할지 모르겠어!'
라고 느낄 때 당신은 이와 같은 글귀를 보고 어떤 책을 찾아야 할지 좀 더 수월해질 것이다.
사적인 서점이 원래 처음 있던 곳은 홍대의 산울림 소극장의 바로 맞은편 길목의 한 건물이었다. 그 건물 4층의 입간판 하나만 세워져 있는 서점.
허름한 건물에 미술 학원이 있는 스산한 층을 지나 4층의 문을 열면 전혀 다른 공간에 와있는 듯한 묘한 분위기의 서점. 사적인 서점은 100% 예약제로 프라이빗하고 폐쇄적인 공간으로 완전한 1인 맞춤형 서점의 형태를 하고 있었다.
2016년 10월, 홍대에 오픈하게 된 이 사적인 서점은 시즌 1의 사적인 서점이다.
“사적인 서점은 제 자신이 가장 즐거울 수 있고, 저라는 사람이 있는 곳이 비로소 사적인 서점이 되기에 지속 가능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특히 운영을 하는 방식이 저 답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일이 즐거워야 하고 그래야 지속 가능하게 되는 거죠. 이 세 가지의 밸런스를 잘 지키면서 운영하고 싶어요. 그래서 여러 가지 형태로 사적인 서점을 계속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다시 시작된 시즌 2의 사적인 서점은 잠실 롯데캐슬골드 지하에 있는 교보문고와 같이 운영되고 있다.
시즌 1이 폐쇄적이었으니 시즌 2는 개방된 공간에서, 사람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 유동인구가 있는 그런 곳에서 진행해보고자 하는 정지혜 대표님의 생각이었다.
때마침 그런 고민을 하고 있을 때에 감사하게도 교보문고에서 먼저 제안을 해주어 기회가 좋았다고.
“시즌 1과 시즌 2를 해보니, 사적인 서점의 이름에 맞게 좀 더 프라이빗하고 폐쇄된 공간에서 하는 것이 좀 더 사적인 것과 맞는다고 생각이 들어요. 시즌 1에서는 가구에도 신경을 굉장히 많이 썼어요. 지금 이곳도 (현재 있는 상담실) 디퓨저나 조명 음악의 분위기 등 여기에 오시는 분들이 릴렉싱 할 수 있는 분위기가 나게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서점을 운영하면서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다 보면 힘들지 않냐는 에디터의 질문에 정지혜 대표님은 “사실은 많은 이야기를 듣고 많은 책을 처방하면서 힘든 부분보다는 제가 보람을 느끼고 배우는 부분들이 훨씬 더 많아요. 내가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있구나‘라는 것을 실감하기가 쉽지 않잖아요.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그 피드백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직업이라서 그럴 때 오는 보람이 너무 큰 것 같아요. 사적인 서점을 오시는 70%의 손님들은 고민 상담을 하곤 합니다. 제가 적당한 타인이기 때문에 고민을 말하기가 훨씬 편한 거죠.
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그게 책 한 권을 읽는 일처럼 느껴져요 사람마다 각자의 스토리가 있잖아요. 스토리를 알아가는 것이 너무 즐겁고, 그때 제가 처방해 드리는 책을 읽고 기분이 나아지는 고객들을 볼 때 저는 너무 보람차요.
그리고 저도 같이 성장해요.
새로운 자극이 되거나, 공부가 되고 편견이 깨지는 경우도 굉장히 많죠.
너무 다양한 사람들의 얘기를 듣다 보니까, 사람들을 함부로 판단하지 않게 된 것도 너무 감사해요. 그들에게 의미 있는 도움이 되는 것 같아서 저는 이 직업에 너무 만족합니다.
오히려 서점을 운영하면서 작년에 시작된 코로나 때문에 많이 힘들었어요. 사적인 서점은 아무래도 성격상 오프라인을 지향하고 있어서 언택트 시대에 어떻게 돌파해야 할지 가장 많이 생각하고 고민했습니다.
사적인 서점을 온라인으로도 하고 있어서 이 부분에서 노력을 많이 했어요. 저희는 책과 독자의 관계를 좀 더 밀접하게 하고 싶어, 온라인으로 책을 주문하면 스태프들이 간단한 인사나 책의 내용 등 짧은 엽서를 써서 보내드리거나 정기구독 서비스로 믿을 만한 작가가 엄선한 책과 글 한 편을 보내는 '월간 사적인 서점' 서비스도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였어요."
사적인 서점의 책 처방사는 정지혜 대표님 말고도, 하현 책 처방사님, 이미화 책 처방사님이 계신다. 어떤 분은 비대면 프로그램을 만들었고 신청서를 쓰면 그것을 보고 책을 택배로 보내드린다. 한 분은 책과 함께 영화도 같이 처방해 준다.
서점은 손님을 모으는 집객효과가 뛰어나다 매출이 뛰어나지는 않지만, 서점이 생기면 그 공간이 문화가 된다. 동네 분위기에 맞게 어떤 서점이 있느냐가 그 동네의 색깔을 결정짓기도 한다. 그 문화를 즐기러 사람들은 끊임없이 모인다.
사적인 서점은 키 테넌트 역할을 충분히 해주고 있다.
[정지혜 임차인은 이런 공간을 원해요]
시즌 3를 한다면 문화공간이 많은 동네의 프라이빗 한 공간에서 운영하고 싶어요. 근처에 빌딩 숲보다는 초록색 숲이 있거나 나무가 크게 보이는 곳, 1층보다는 2~3층의, 공간 자체에 힘이 큰 곳을 원해요. - J |
---|
-
※ 정지혜 임차인에 대해 보다 자세한 상담을 원하시면 띵당을 통해 문의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띵당에게 있습니다.
Comments